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TiStory245

계약갱신청구권 실거주 목적 매매시 거절(전세낀 매매, 계약 중인 아파트) 진짜 속된말로 겁나 말이 많았습니다. 실거주 목적으로 집을 사려고 해도, 만약 계약기간이 1~6개월 남은 세입자가 "저 계약갱신 청구합니다~" 이러면 실거주 목적이라고 하더라도 갱신청구를 거절 할 수 없도록 하는지 여부와 관련해서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실거주 목적 매매라고 하더라도 1~6개월 남은 세입자가 이미 계약갱신청구권 행사를 한 상황이라면 새로운 집 주인은 갱신청구 거절이 불가능합니다(계약중이거나, 중도금을 치뤘다고 해도 마찬가지) 즉, 만약 세입자가 계약갱신청구를 했다면(할 예정이라면)이라면, 무조건 전세낀 매매 만 가능합니다. 아니면 갱신청구권이 생기기 6개월 전에 매매(등기!!)를 해야만 합니다. "자꾸 말이 바뀌는 국토부" 실제 임대차 3법의 발의 된 후 국토부 답변을 보시면, 애매하게.. 2020. 9. 25.
뉴딜 펀드 가입 및 투자 혜택과 수익율 A to Z(정부 펀드 원금보장) 뉴딜펀드는 말 그대로 '펀드' 입니다. 돈을 모아 투자해서 나온 수익을 쉐어하는데, 그 주체가 정부가 되겠다는 겁니다. 2021년~2025년까지 정부 주도하에 금융기관과 민간이 함께 재원을 조성해(20조원)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디지털뉴딜+그린뉴딜)에 투자하겠다는 겁니다. 가령 소프트 뱅크의 비전펀드를 예로들면, 일본의 소프트뱅크 그리고 사우디의 투자청 등 각종 기업 및 기관이 참여해 약 1천억 달러(약 100조)를 굴려 쿠팡, 우버, 위웍, 그랩 등에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죠. 추후 이 기업들이 IPO를 하면, 지분을 현금화해 엑시트를 해서 수익을 창출합니다. 뉴딜펀드의 목적 : 민간 투자를 이끌어내는 마중물 역할 2020년 7/14 코로나 이후 경제 사회 전반에 위기를 극복하고자 정부는 "한국판 뉴딜.. 2020. 9. 23.
무료 독감백신, 4가 백신 가격 및 독감 예방접종 시기(Feat. 접종 중단사태_유통문제) 최근 독감백신의 유통문제로 무료 독감백신 접종 중단사태가 발생했습니다. 백신을 상온에 그대로 노출하면서 유통상의 문제가 발생했죠... 그러면서 독감과 예방접종에 대해 궁금해해시는 분들이 늘었는데, 정작 백신에 대해서 정확하게 집어주는 곳이 없어서 정리해봤습니다 :D 독감 예방접종이 무엇인지, 예방접종을 하면 독감에 안걸리는건지, 예방접종 시기는 언제인지 무료 대상자는 누구인지 등 독감에 대한 모든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독감 ≠ 감기 먼저 독감은 감기가 아닙니다. 감기 바이러스는 알려진 것만 200가지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참고로 감기 예방약은 없는거 아시죠?) 감기는 서서히 발현되며, 약한 병인을 가져옵니다. 반면 독감은 인플루엔자(A,B,C형)에 의해 급속히 발현되어 고열과 .. 2020. 9. 22.
실업급여(수당) 의원면직(사표, 사직서)으로도 받는다!(실업급여 조건 등) 안녕하세요, 다들 실업급여에 대해 어느정도 알고 계시리라 생각하는데, 실업급여 조건은 크게 2가지 입니다. 첫번째, 근무기간(고용보험 가입기간)이 18개월간 최소 180일 이상이어야 합니다. 즉, 최소 근무기간이 3개월 이상이어야 하며, 근무기간 동안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합니다. 아무리 근로기간이 3개월을 넘더라도 고용보험 미가입자라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 두번째, 퇴직 사유가 비자발적인 사유(권고사직)이어야 합니다. 스스로 퇴사하는 의원면직일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의원면직이더라도 퇴직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 사례 [임금관련] 1. 임금 체불, 최저임금 미달, 사업장 휴업으로 평균임금의 70% 이하로 지급받는 경우 임금과 관련해서, 임금이 체불.. 2020. 8.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