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수당) 의원면직(사표, 사직서)으로도 받는다!(실업급여 조건 등)
안녕하세요, 다들 실업급여에 대해 어느정도 알고 계시리라 생각하는데, 실업급여 조건은 크게 2가지 입니다. 첫번째, 근무기간(고용보험 가입기간)이 18개월간 최소 180일 이상이어야 합니다. 즉, 최소 근무기간이 3개월 이상이어야 하며, 근무기간 동안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합니다. 아무리 근로기간이 3개월을 넘더라도 고용보험 미가입자라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 두번째, 퇴직 사유가 비자발적인 사유(권고사직)이어야 합니다. 스스로 퇴사하는 의원면직일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의원면직이더라도 퇴직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 사례 [임금관련] 1. 임금 체불, 최저임금 미달, 사업장 휴업으로 평균임금의 70% 이하로 지급받는 경우 임금과 관련해서, 임금이 체불..
2020. 8. 17.
청년저축계좌 가입 조건(4대보험, 중위소득 기준) / 희망키움통장 중복 여부 등
청년저축계좌란? 월 10만원 저축 + 정부에서 월 30만원 매칭 지원, 3년간 저축 즉, 월 10만원씩 3년 저축하면 3년 뒤 1,440만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 다들 검색해보셔서 아시겠지만, 청년 저축계좌는 높은 청년 실업률이 지속되고, 부모 세대의 대거 퇴직에 따라 청년층이 새로운 빈곤층으로 부상하는 걸 막고자, 보건복지부가 총괄하여, 근로소득장려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당연히 그에 따른 조건이 따라 붙는데, 알바는 가입이 가능한지, 한 가구에 몇명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다른 정부지원제도와 중복 수혜가 가능한지 등 문의사항이 많습니다. 궁금한 사항들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해드릴께요 :) 지원기준! 1. 소득기준 : 중위소득의 50% 2. 나이기준 : 만 15세 이상 39세 이하 3. 근로기준..
2020. 7. 6.